-
반응형
안녕하세요. 오늘은 조선공학과 졸업 후 진로 및 직업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공학도중 가장 인기 많은, 전기, 화학, 기계에 비해서 일부 진로가 국한될 수 있으나 조선 관련 내에서도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듯하네요.
1. 조선공학의 진로
조선공학은 선박 및 해양기술에 관한 학문과 분야로서, 이 분야에서의 진로는 다양하고 매우 흥미로운 경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. 아래는 조선공학분야에서의 다양한 진로옵션중일부를 설명한 것입니다.
선박설계엔지니어:
선박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역할을 맡습니다. 이과정에서 CAD(컴퓨터보조설계) 소프트웨어 및 수학적 모델링기술을 사용하여 선박의 모양, 크기, 구조, 안전 및 성능을 결정합니다.
해양시스템엔지니어:
해양시스템엔지니어는 선박 내 시스템(전기, 전자, 제어시스템 등)을설계, 유지보수 및 개발하는 역할을 합니다. 이들은 선박이 안전하게 운항하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.
조선소관리자:
조선소관리자는 선박을 건조하고 보수하는 조선소에서 업무를 총괄합니다. 이들은 예산관리, 인력관리, 일정조율 및 안전규정준수 등을 담당합니다.
해양기술연구원:
연구기관이나 대학에서 해양과학 및 기술연구를 수행합니다. 이 분야에서의 연구는 선박설계 및 성능향상, 해양환경보전, 에너지효율성 등에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룹니다.
해양엔지니어링컨설턴트:
다양한 조선 및 해양프로젝트를 위한 전문적인 조언을 제공하는 컨설턴트로 일 합니다.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최상의 해결책을 제안합니다.
해양환경 및 안전전문가:
해양환경 및 안전을 관리하고개 선하기 위한 전문가로서, 선박운항중발생하는 환경영향 및 안전문제를 조사하고 관리합니다.
해양자원개발자:
해양자원(해저광물, 해양에너지등)을개발하고 관리하는 분야에서 일합니다. 이는 심해에서의 자원탐사와 추출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.
해양교육 및 교육자:
대학, 학교 또는 교육기관에서 학생들에게 조선공학 및 해양기술에 대한 지식을 가르치는 교육자로 일 합니다.
조선공학분야에서의 진로선택은 본인의 흥미와 역량, 꿈과 목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 이분야는 기술적 인도전과 해양환경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진 사람들에게 매우 흥미로 운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해양산업은 글로벌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지속가능성에 대한 중요한 문제들도 다루고 있으므로, 미래에도 많은 기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2. 취업 진로
조선공학분야에서의 취업기회는 지역 및 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됩니다. 일반적으로 조선공학전문가는 다음과 같은 장소에서 취업기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.
조선소:
선박을 건조, 보수 및 수리하는 조선소에서 고용됩니다. 선박설계, 시스템엔지니어링, 조선소관리, 기술서비스, 생산등다양한 부서에서 일할수 있습니다.
조선 관련회사:
선박설계 및 제조에 특화된 조선 관련회사에서 고용됩니다. 이러한 회사는 선박장비 및 기술을 개발하고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해양기술회사:
해양시스템, 해양자원개발, 해양환경보전, 해양안전 및 교육분야에서 일하는 회사에서 직업기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.
연구 및 개발기관:
대학, 연구소 및 정부기관에서 해양기술 및 조선공학연구에 참여하는 연구원으로 고용될 수 있습니다.
해운 및 항만회사:
해운회사 및 항만운영회사에서 선박운영, 로지스틱스관리, 항만운영 및 해운 관련직무를 수행하는데 참여할 수 있습니다.
해군 및 해양 관련정부기관:
국방, 해양안전, 해양보호 및 환경관리와 관련된 정부기관 및군에서 일할기회가 있습니다.
교육기관:
대학, 학교 또는 교육기관에서 조선공학 및 해양기술을 가르치는 교육자로 고용될 수 있습니다.
조선공학분야에서의 취업기회는 지역 및 시장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, 업계의 발전 및 특정분야의 수요에 따라 변동할 수 있습니다. 취업을 원하는 경우 관련경험, 기술 및 학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며, 업계동향을 주시하고 취업시장을 탐색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.2016~17년경 조선산업 침체로 좋지 않았으나, 최근 다시 수주량이 늘면서 다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. 포스팅 내용 참조하셔서 조선업에 많은 관심을 가져 주셨으면 합니다.
반응형'공학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해양기술 혁신과 해양 에너지 (0) 2023.10.04 조선산업 관련 선주사, 해운사, 조선소 (0) 2023.10.02 선급단체의 역할과 종류 (0) 2023.09.28 자동용접의 종류 및 용접장비 (0) 2023.09.24 선박의 미래와 해양 환경 규제 (0) 2023.09.09